반응형
    
    
    
  1. ${} 문법을 이용하면 문자열에 변수 또는 식을 넣을 수 있다.
<!DOCTYPE html>
<html lang="en">
<head>
    <meta charset="UTF-8">
    <meta http-equiv="X-UA-Compatible" content="IE=edge">
    <meta name="viewport" content="width=device-width, initial-scale=1.0">
    <title>Document</title>
</head>
<body>
    <script type="text/javascript">
    if(true) {
        alert('result : true');
    }
    let dan = 3
    let gugu = 8
    let string = `${dan} 곱하기 ${gugu}은 ${dan * gugu}입니다.`
    console.log(string)
    
    </script>
</body>
</html>
2. undefined - 변수나 상수를 선언하면 반드시 생성한 공간에 저장할 데이터를 할당해야 한다. 할당하지 않으면 자바스크립트 내부적으로 변수와 상수 공간에 임시로 데이터를 할당하는데, 이때 할당하는 값이 undefined다.
3. 배열
<!DOCTYPE html>
<html lang="en">
<head>
    <meta charset="UTF-8">
    <meta http-equiv="X-UA-Compatible" content="IE=edge">
    <meta name="viewport" content="width=device-width, initial-scale=1.0">
    <title>Document</title>
</head>
<body>
    <script type="text/javascript">
    if(true) {
        alert('result : true');
    }
    let dan = 3
    let gugu = 8
    let string = `${dan} 곱하기 ${gugu}은 ${dan * gugu}입니다.`
    console.log(string)
    let koreanScore = 80;
    let englishScore = 70;
    let mathScore = 50;
    let studentScore = [80, 70, 50]; 
    console.log(studentScore[1]);
    </script>
</body>
</html>
반응형
    
    
    
  'Javascript'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자바스크립트 배열[]안에 중괄호 {} (0) | 2023.03.29 | 
|---|---|
| Javascript가 HTML문서를 동적으로 변환 시킬 수 있는 이유 (DOM개념) (1) | 2023.03.28 | 
| Javascript 조건문 개념 (0) | 2023.03.28 | 
| Javascript 연산자, 조건문 (0) | 2023.03.27 | 
| Javascript 기초 ① (0) | 2023.03.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