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분산 썸네일형 리스트형 91일차 코딩학원 공부내용 정리 6/9 마지막 발표. 마무리가 되면 springboot 사용 연습함. [1, 1, 1, 2, 2, 2, 100] 처럼 데이터가 고르지 않을 때(너무 크거나 작은 값이 포함될 때) 평균보다 중간값이 유효하다. 데이터는 많으면 좋다. 새로운 column을 추가해보자. 실제 데이터 관리자들은 뻥튀기를 하기도 한다. 결과가 좋게 나오기 때문. 상관계수. 타이타닉호에 탄 사람들 중 1등석에 탄 사람들의 생존률은 상관관계가 있을까? 1등석과 생존율의 관계. 공분산은 관계의 방향(+, -, 0)만 알 수 있고 정도는 알 수 없다. 공분산을 보완하는 개념이 상관계수다. NaN값은 삭제하거나 치환하는 처리가 필요하다. 코드 Age_double 칼럼을 추가했다. column을 추가했다. drop()을 사용해.. 더보기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