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HAVING

[SQLD] HAVING HAVING 1. GROUP BY로 묶인 각 그룹들 중에 실제 가져올 그룹들의 조건을 설정한다. 2. GROUP BY 뒤에 HAVING이 나온다. WHERE에 조건을 넣으면 GROUP BY가 풀려버림. SELECT DEPTNO, AVG(SAL) FROM EMP GROUP BY DEPTNO HAVING AVG(SAL)>2000; 3. 테이블 전체가 하나의 그룹인 경우 GROUP BY를 생략하고 HAVING 을 써도 된다. 4. HAVING 절에서 SELECT 에서 사용된 ALIAS를 사용할 수 없다. 연산순서가 HAVING이 더 빠르기 때문이다. SELECT DEPTNO, SUM(SAL) FROM EMP GROUP BY DEPTNO HAVING SUM(SAL)>8000 AND SUM(SAL) 더보기
[SQLD]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는 어떻게 시작됐을까?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개요 1. 많은 사람들이 하나의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하기 위해서 규칙이 필요했다. 각자 DB를 정리하는 방식이 다르기 때문이다. 통일성 때문에 규칙이 등장한 것이다. 2. 엑셀의 등장. 릴레이션(relation)이 등장했다. 엑셀표를 보면 건축물 같이 생겼다. 이것을 구조화된 데이터(Structured Language)라 부른다. 3. 표를 다룰 수 있는 언어가 탄생했다. DDL(표의 생성, 구조의 변경), DML(정보의 조회, 정보의 수정/입력 등)이 있다. DML에는 insert, delete, update, select 등이 있다. 4. ◆ JOIN : 합친다. 연결한다. / 테이블을 합쳐서 필요한 데이터를 뽑아내야 하는 경우가 발생했다. 테이블과 테이블의 만남. 시험에 많이 나오.. 더보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