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junit

64일차 코딩학원 ● 64일차 코딩학원 수업시간 공부내용정리 1. 프래시맨 뜻 : 신선한 사람. 아직 지성이 없는 상태. 처음에는 '열심히 하겠습니다' 라는 마음으로 시작해야한다. 장화신고 하수구에 들어가서 청소하는 것부터 시작이다. 그런 것들이 쌓여야 나중에 기회가 올 때 점프할 수 있다. 2.Postgresql은 Database에 해당하는 부분이다. 3. src/test/java에서 작업 중 4. jUnit은 디버깅과 비슷해보인다. 테스트를 하는 이유는 책을 쓰고 수정하는 과정과 비슷하다. jUnit테스트를 통해 코드의 오류를 찾거나 수정을 통해 효율적인 코드를 만들 수 있다. 5. 단위테스트가 계속되려면 삭제하고 삽입하고, 삭제하고 삽입하는 과정이 반복되어야한다. 6. 예외처리가 계속 나오네? 왜 예외처리를 해줘야만.. 더보기
63일차 코딩학원 ● 63일차 코딩학원 수업시간 내용정리 1. 어제부터 계속보는 내용은 '의존성 주입'이다. Bean은 IoC컨테이너에 담겨있는 객체다. Bean은 어플리케이션에서 사용되는 객체다. 어노테이션 혹은 XML파일로 등록할 수 있다. 2. MVN Repository에서 최신 파일 코드 복사. 데이터베이스와 Spring을 연결하려고 한다. 3. Postgresql. 주소 확인. 4. 신기하네 이거. Spring으로 sql데이터를 가져왔다. package com.earth.clean; import java.sql.Connection; import java.sql.DriverManager; import java.sql.ResultSet; import java.sql.SQLException; import java.sq.. 더보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