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인터넷이 1960년도에 개발되고 1990년도에 웹이 개발됐다.
어떻게 하면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주고 받을 수 있을까? 팀버너스리 웹서버와 웹브라우저를 발명함. HTML도 발명함.
그런데 저작권을 가지지 않겠다고 public domain 선언을 했다. 대단한 분이다.
서버와 클라이언트.
클라이언트는 고객을 말한다. 서버는 제공하는 사람이다. 갑과 을로 표현할 수 있다.
우리가 보고 있는 정보는 서버에서 온 것들이다.
클라이언트의 컴퓨터에는 하드웨어, 운영체제, 웹 브라우저가 깔려있다. 클라이언트가 웹브라우저를 통해 주소를 입력하면 운영체제는 하드웨어에게 명령을 내리고 하드웨어는 Server에 정보를 요청한다.
Server에도 하드웨어, 운영체제가 있다. 그 위에 WS가 있음. 클라이언트가 요청한 정보를 읽은 후 역순으로 돌아간다. 과거에는 txt 파일만 불러올 수 있었다. 너무나 정적인 나머지 지루했다. 그래서 html이라는 언어를 개발한 것이다. html 안에는 이미지, 글씨크기, 다른 스타일 등 꾸밀 수 있게 됐다.
웹페이지를 풍부하게 만드는 언어가 html이다.
반응형
'HTML' 카테고리의 다른 글
라디오태그와 텍스트를 그룹핑 하는 방법 (0) | 2023.09.27 |
---|---|
[HTML] name 속성이 가능한 태그 (0) | 2023.09.27 |
CSS 기본 문법 정리 2 (0) | 2023.03.24 |
HTML 태그 정리 (0) | 2023.03.23 |
HTML 수업 (0) | 2023.03.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