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gpu

109일차 코딩학원 (PyTorch 연습) 6/28 공부 내용 정리 1. 쿠다(CUDA)는 NVIDIA가 개발한 병렬 컴퓨팅 플랫폼이다. 이는 그래픽 처리 장치(GPU)를 사용하여 고성능 병렬 컴퓨팅을 수행하는 데 사용된다. 쿠다를 사용하면 GPU의 수천 개의 코어를 활용하여 동시에 여러 작업을 처리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대량의 데이터를 동시에 처리하거나 복잡한 계산 작업을 빠르게 수행할 수 있다. 2. 파이토치(PyTorch) 프레임워크 역사 1) 2007년 Theano 시작 2) 2013년 Caffe (Caffe2) 3) 2015년 tensorflow - DL Framework 전환점이 되는 시기 4) 2016년 CNTK 5) 2016년 Keras 1.0 출시 파이썬 코드 3. Colab에서 GPU를 사용해 보자. 4. 실행하면 false가.. 더보기
104일차 코딩학원 (신경망과 활성화함수) 6/21 공부 내용 정리 1. 신경망, 인공신경망은 뉴런 작용을 모방했다. - 신경망은 GPU처럼 병렬성(parallelism)이 뛰어나다. - 문자인식, 음성인식, 영상인식, 자연어 처리 등에 이용된다. 2. 결국 인공지능의 발명, 인공지능의 신경망 생성의 궁극적인 목표는 인간대신 학습하는 것임. 인간은 늘 한계를 뛰어넘고자 욕망함. 그 결과 선형구조만 분석할 수 있던 인공지능은 비선형구조도 분석할 수 있는 기술을 갖추게 됐다. 3. GPU의 개발, 기능향상으로 딥러닝 전성시대가 열렸다. GPU에는 여러가지 코어가 내장되어 있다. 이것은 동시에 여러 개의 간단한 계산을 수행해서 그래픽 속도를 높인다. NVidia는 2006년부터 프로그래머들이 gpu를 사용하여 쉽게 코딩할 수 있도록 CUDA라고 불리는.. 더보기
94일차 코딩학원 6/7 공부내용정리 선형회귀분석의 예시 : 신규 고객의 소득 예측, 신규 고객의 신용등급 분류. https://io.google/2023/intl/ko/ AI 공부시 자주 들어가서 확인할 것. TensorFlow는 머신러닝을 위한 엔드투엔드 오픈소스 플랫폼이다. 구글이 만들었다. 파이토치도 급부상 중이다. Siri도 머신러닝의 예다. 엔비디아의 행보에 관심을 가져보자. AI 관련 가장 Hot한 기업이다. Google Colab으로 GPU를 체크해보자. 1차원이나 2차원 데이터를 처리하는 경우에도 TensorFlow를 사용할 수 있지만, 텐서플로우의 주요 장점은 고차원 데이터와 복잡한 연산을 다룰 때 더욱 두드러진다. 특히 딥러닝 모델과 같이 매우 복잡한 구조와 대량의 데이터를 다루는 경우에 TensorF.. 더보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