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썸네일형 리스트형 22일차 코딩 학원 1. 시험을 쳤다. 카피에서 만들기는 했지만 결과물을 완성시키니 기분이 좋았다. 코딩의 쾌감, 코딩의 희열로 채널명을 바꾸든가 해야겠다. 2. 원래 글을 많이 써놨는데 다 날아갔다. 임시저장 버튼은 자주 눌러야 한다. 3. 자바의 정석을 들으면서 기초 부분 학습을 진행하고 있다. 객체 지향 파트도 같이 진행 중임. 4. 코딩알려주는 누나 말씀 ⓐ 에러를 정리해라 : 문제해결능력을 키우려면 장애물 봉착시 어떻게 해쳐나갔는지가 중요함. 면접에서도 물어봄. ⓑ 기술블로그 작성 : 현재 하고 있는데 나중에 포트폴리오가 될 수도 있음. ⓒ 네트워킹 : 같이 공부하는 사람을 만들어라. 인맥 중요함. ⓓ 개인프로젝트 : 다음주 부터 팀 프로젝트가 시작되는데 동시에 개인프로젝트도 만들어라. 포트폴리오로 만들기. ⓔ 부.. 더보기 메서드 메서드는 문장을 묶어놓은 것이다. 메서드는 클래스 안에 반드시 있어야 함. 프로그래밍에서 코드 중복은 나쁘게 봄. 메서드를 사용하면 중복을 줄일 수 있다. 관리하기 쉽다. 재사용도 가능하다. 반복 혹은 여러 문장으로 만들어진 문장을 간결하게 할 때 메서드를 사용한다. 메서드 = 선언부 + 구현부 메서드이름 ( ) - 선언부 { - 구현부 } int add (int a, int b) { int result = a+b; return result;} 반환할 것이 없으면 void - 출력이 없다고 메서드 이름을 불러라. 메서드야( ) // 호출하기 print99danAll(); - 구구단 출력 메서드 int result = add(3, 5); //int add(int x, int y)를 호출하고, 결과를 res.. 더보기 21일차 코딩학원 1. 어레이 리스트, 인터페이스가 뭘까? 뭔 뜻인지 알면 이해하기 쉬울텐데 2. 뒤죽박죽임. 어레이리스트, 인터페이스, 싱글톤패턴, has a 관계, implement, get instance 등등 갑자기 고난이도 문제가 나옴. 강사는 혼잣말을 하며 문제를 풀고 있음. 따라가지 못함. 일단 한번에 다 알 수 없으니 메모해두고 넘어감. 추후 강의를 통해 개념 이해 필요함. 3. 코딩은 무언갈 만들거나 문제를 해결하거나 둘 중 하나임. 4. 솔직히 코딩 따라가기 힘들다. 그냥 보고 치는 수준임. 이해가 되는 부분도 조금씩 생기긴 함. 5. 막막하다. 나는 못 따라가고 있음.... 열불이 난다. 6. 배열에 대한 공부를 했다. 이것 역시 기본 개념은 알겠는데 강사가 하는 부분은 따라가지를 못하겠다. 더보기 객체지향 언어 OOP라고 부름. 1. 캡슐화 2. 상속 3. 추상화 4. 다형성 위 4가지가 핵심개념임. 6~7장 다형성을 반복해서 봐야함. 객체지향은 반복과 비례해서 이해도가 높아짐. 외워야 프로그래밍을 쉽게 할 수 있음. 오류가 나면 규칙대로 해야 함. 규칙을 아는 것이 먼저야. 이걸 왜 쓰냐? 그건 일단 중요하지 않아. 기본 규칙을 아는 것이 중요해. 뭔가 만들어내는 것이 중요하다. 외워라. 외우는 것도 좋은 학습 방법임.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객체는 실제로 존재하는 것, 사물 혹은 개념. 객체는 상태와 행동으로 나눈다. 속성 기능도 같은 말임. 객체는 제품이고 클래.. 더보기 20일차 코딩학원 1. 람다 함수에 대해 배우는 중이다. 객체 지향과 반대적인 성질을 가진다. 오늘도 혼잣말... 따라가기 매우 힘들다. 나는 지금 클래스와 객체에 대해 강의를 따로 듣고 있다. 따라가야 한다. implement는 뭘까? 객체를 생성하는데 다른 집단에서 뭘 가져오는 것 같다. 2. 수형씨가 내준 문제를 풀고 있다. 어렵다.클래스, 생성자, 메서드를 사용해야 한다. 3. 스트림에 대해서 공부하고 있다. 하나도 모르겠다. 성질난다. 4. 생성자는 기본생성자와 매개변수 생성자 두가지가 있다. 5. 세터 게터는 뭘까? 왜 쓰는거지? * 기초 공부 후에 수업을 따라가니 효과가 있다. 아~ 강의에서 본 그것이 저것이구나 정도? 혼자 생각해서 하면 잘 안됨. 더보기 19일차 코딩학원 1. 이번주 금요일 능력단위 평가 실시. 2. has a 관계. 아직 무슨 말인지 모르겠음. 3. 람다식이 많이 쓰이는 곳이 스트리밍 파트. 4. 예외 처리, 자바 입출력 파트, 자바 쓰레드까지 하면 자바 마무리. 5. 다음주부터 스토리보드를 만든다. 아이디어 짜올 것.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함수형 프로그래밍. OOP와 다름. 객체는 현실과 닮아있어서 자주 쓰임. 그렇다고 함수형이 쓰이지 않는 것은 아님. 오후 3시 나른한 시간이다. 누가 뒤에 창문을 열었는데 시원하니 좋다. 함수형 프로그래밍을 왜 쓰는지, 어디에 쓰는지 알려주면 좋겠다. 무작정 코딩하는.. 더보기 18일차 국비 코딩학원 'Do it 첫코딩' 책을 여자친구가 사줬다. 공부 많이 해야겠다. 알라딘에 가서 '이렇게 하면 나도 프로그램을 잘 만들 수 있다' 책을 샀다. 기본서 2권이 생겼으니 습관적으로 펼쳐 보고 공부해야겠다. 강사는 지금 컬렉션 프레임워크에 대해서 말하고 있음. 컬렉션 프레임워크란 무엇인가? 자바에서 컬렉션 프레임워크(collection framework)란 다수의 데이터를 쉽고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표준화된 방법을 제공하는 클래스의 집합을 의미합니다. 즉, 데이터를 저장하는 자료 구조와 데이터를 처리하는 알고리즘을 구조화하여 클래스로 구현해 놓은 것입니다. 라고 하는데... 게터 세터, 어레이 리스트, @Override 등 용어를 모르겠음. OOP, 객체, 에드 등 어려운 말만 계속 사용함. hashS.. 더보기 변수(variable)란 무엇인가? 변수는 변하는 수가 아니라 하나의 값을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공간임. 변수를 선언해야 함. 값(data)을 저장할 공간을 마련하는 것임. 선언방법 - 변수타입 변수이름; int age; // 정수타입의 age를 선언함. (정수는 integer) age [ ] 데이타 저장 공간이 생김. age=25; 뜻 : 변수 age에다가 25를 저장해라. int x = 0; // 변수 x를 선언하고, 0으로 초기화 한다. int y = 5; // 변수 y를 선언하고 5로 초기화 한다. int x = 0, int y = 5; 위의 두 줄을 한 줄로 표현한 것. 변수의 값을 읽으려면 변수의 값이 필요한 곳에 변수의 이름을 적어라. int year = 0, age = 14; year = age + 2000; year = .. 더보기 이전 1 ··· 52 53 54 55 56 57 58 59 다음